최신머신러닝을 이용한 추천 시스템 3주차(GNN기반 추천 시스템 조사)
UROP
3주차(GNN기반 추천 시스템 조사)
GNN(Grpah Neural Network)
Graph neural networks in recommender systems: a survey
0. 개요
유튜브, 넷플릭스 ,스포티파이와 같은 플랫폼에서 사용자의 방대한 항목(제품, 영화, 뉴스…)에서 관심 있는 항목을 탐색하기 위해 추천 시스템을 사용한다. 사용자의 과거 상호 작용(클릭, 시청, 읽기, 구매…)을 통해 사용자의 선호도를 정확하게 모델링하는 것이 효과적인 추천 시스템의 핵심이다.
대체로 지난 수십 년 동안 추천 시스템의 주류 모델링 패러다임은 이웃 방법 → 표현 학습 기반으로 발전해왔다.
—# 이웃방법
이웃방법
-
아이템 기반 이웃방법
아이템기반 이웃방법은 사용자가 상호작용한 과거 아이템과 유사한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직접 추천한다. 초기 아이템 기반 이웃 접근 방식은 단순성, 효율성, 효과성으로 인해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 표현학습
표현 학습
-
사용자 - 아이템
사용자와 아이템을 공유 공간에서 연속 벡터로 인코딩하여 직접 비교하는 표현 학습 기반 방식으로 사용자와 아이템 간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모델링하는 방법론이다. 이 접근 방식은 비선형적이고 단순하지 않은 사용자-아이템 관계를 효과적으로 포착하고 풍부한 데이터 소스를 쉽게 통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넷플릭스 프라이즈 경진대회에서 행렬 인수분해 모델이 기존의 이웃 방식보다 추천에 더 우수하다는 사실이 입증된 이후 표현 기반 모델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고 그 후 인수분해부터 딥러닝 모델에 이르기까지 사용자와 아이템의 표현을 학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오늘날 딥러닝 모델은 비선형적이고 사소하지 않은 사용자-아이템 관계를 효과적으로 포착하고 문맥, 텍스트, 시각 정보 등 풍부한 데이터 소스를 쉽게 통합할 수 있는 능력으로 학술 연구 및 산업 응용 분야에서 추천 시스템을 위한 주요 방법론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딥러닝 알고리즘 중에서도 추천 시스템의 정보를 그래프 관점에서 고려하는 그래프 학습 기반 방식이 있다. 추천 시스템에 있는 대부분의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그래프 구조를 가지고 있다.
—# 추천 시스템에서 그래프 구조의 예로는 이분 그래프가 있으며 이 유형의 그래프는 사용자와 아이템의 두 집합으로 구성되며, 사용자와 아이템 간의 상호 작용(클릭, 보기, 읽기, 구매…)를 나타내는 링크가 있다.
—#이분 그래프
- 그래프의 정점의 집합을 둘로 나눴을 때, 각 집합에 속한 정점끼리는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분할할 수 있는 그래프를 이분 그래프라고 한다.
- 밑에 그림의 예제에서 사용자를 노란색 정점, 아이템을 파란색 정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사용자 정점은 서로 연결될 수 없으며, 아이템 정점 또한 마찬가지이다.
이 논문에서는 추천 시스템에서 데이터는 종종 그래프 구조를 가지며, 사용자 및 아이템 노드는 관찰된 상호 작용을 나타내는 링크로 연결되어 있다고 설명한다. 그래프 학습 알고리즘은 사회적 관계 및 지식 그래프와 같은 외부 정보를 포함하여 이러한 데이터를 모델링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과거에는 인수분해 기반, 분산 표현 기반, 신경 임베딩 기반 등의 그래프 임베딩 기법이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그래프 신경망(GNN)이 그래프 구조의 데이터에서 학습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보여 많은 추천 모델에 사용되고 있다.
기존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아이템간의 상호작용만을 추천 신호로 사용하지만, GNN은 상호작용 그래프의 토폴로지 구조를 사용하여 사용자 및 아이템 표현을 개선할 수 있다. 이는 암시적으로만 했던 기존 방식과달리 GNN은 명시적으로 인코딩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토폴로지 구조
그래프에서 서로 다른 요소간의 관계를 의미한다. 추천 시스템의 맥락에서 이는 사용자가 아이템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 또는 아이템이 서로 연관되는 방식을 나타낼 수 있다. GNN은 이러한 토폴로지 구조를 사용자와 아이템 간의 상호 작용에만 의존하는 기존 방식보다 더 나은 추천을 위한 추가 신호로 사용할 수 있다.
GNN(그래프 신경망)은 추천 시스템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추천을 개선할 수 있는 아이템간의 복잡한 관계를 탐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계 연구에 따르면 GNN은 최근 몇 년간 추천 시스템에서 놀라운 성공을 거둔 기법이다. 많은 연구에 따르면 GNN 기반 접근 방식은 공개적으로 사용 가능한 샘플 데이터세트에서 이전 방법보다 성능이 뛰어나고 새로운 최첨단 결과를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NN은 세션 기반, POI, 그룹, 멀티미디어, 번들 추천 등 다양한 추천 작업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이 있다.
GNN은 웹 스케일 추천 시스템과 같은 사용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어 고품질 추천 결과를 생성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예를 들어 Pinterest는 수십억 개의 노드와 에지로 구성된 그래프에 PinSage라는 GNN기반 모델을 구현하여 사용자 참여도를 향상시켰다.
—# PinSage
PinSage는 30억 개의 노드와 180억 개의 엣지로 구성된 그래프를 기반으로 핀터레스트(Pinterest)에서 개발 및 배포한 GCN(그래프 컨볼루션 네트워크)알고리즘 모델이다. 랜덤워크 기반 기술을 사용하여 고품질의 추천 결과를 생성하며, 온라인 A/B테스트에서 사용자 참여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은 추천 시스템 분야에서 이 특정 조사가 기존 조사와 어떻게 다른지 논의하고 있다. 추천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 초점을 맞춘 설문조사는 이미 존재하지만, 현재 GNN이 어떻게 추천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는 거의 없다. 본 조사는 GNN기반 추천 시스템의 발전 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사용 정보 유형과 추천 작업에 따라 기존 작품을 분류하며, 이 분야의 미해결 과제와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논문은 GNN기술을 사용하는 추천 시스템에 대한 최신 문헌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GNN기반 추천 모델을 정리하기 위해 새로운 분류 체계를 제안하고 있으며 이 분류 체계는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그룹으로 정의할 수 있다.
- 사용자-항목 협업 필터링
- 순차적 추천
- 소셜 추천
- 지식 그래프 기반 추천
- 기타 작업(ex : POI 및 멀티미디어 추천)
1. 배경 및 분류(추천시스템과 GNN)
1.1 추천 시스템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의 과거 행동이나 관심사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아이템을 추천하는 도구이다. 이 시스템은 학습된 사용자 및 아이템 표현과 점수 함수를 사용하여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추정하며 결과 선호도 점수는 확률로 표시 될 수 있다.
추천 시스템의 일반적인 작업 중 하나는 사용자-아이템 협업 필터링으로, 시스템이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사용자와 아이템의 표현을 학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은 시간 경과에 따른 상호 작용의 순차적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 표현을 개선하는 것이다.
추천 시스템 분야는 사용자 익명성과 세션 세분화에 따라 다음과 같이 2가지로 나뉠 수 있다.
- 순차적 추천
- 클릭, 시청, 읽기, 구매 등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과거 상호 작용을 고려하는 시스템
- 세션 기반 추천
- 순차적 추천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익명의 사용자도 고려하고 사용자의 행동을 세션으로 세분화하여 이를 통해 개별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따라 더욱 개인화된 추천을 제공
—# 세션
세션은 일정한 기간 내에 웹사이트에서 발생한 사용자 상호작용의 집합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여러 페이지를 방문하고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고 결제하고 나가는 과정을 하나의 세션이라 볼 수 있다.
GNN이 추천에 기여하는 바에 대한 연구 목적상 그 차이는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추천 시스템을 “순차적 추천”으로 지칭하고 있다. 또한 사회적 관계를 사용하여 사용자 표현을 개선하는 “소셜 추천”이라는 또 다른 유형이 있다
—# 소셜 추천
소셜 추천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이 비슷한 관심사와 선호도를 가지고 있으며, 서로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자들은 사용자의 선호도에 초점을 맞추는 것뿐만 아니라 지식 그래프에서 아이템 간의 속성과 의미 관계를 사용하여 아이템의 표현을 개선함으로써 이러한 추천 접근 방식을 개선하려고 노력한다.
1.2 GNN
최근에는 물리 시스템, 단백질 구조, 지식 그래프 등 그래프로 표현되는 데이터와 관련된 작업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GNN이라는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새롭고 혁신적인 시스템들이 등장햇다. 이 파트에서는 그래프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미 존재하는 GNN 기술에 대한 개요를 분석한다.
그래프는 점(노드)과 이를 연결하는 선(엣지)의 집합이다. 노드의 이웃은 노드에 연결된 노드의 집합이다. 그래프는 방향이 있는 방향 그래프거나 방향이 없는 무방향 그래프가 존재하며, 또한 동질(모든 노드와 엣지가 동일)이거나 이질(노드 또는 엣지가 다름)일 수도 있다. 하이퍼그래프는 하나의 엣지가 두 개이상의 노드를 연결할 수 있는 그래프 유형이다.
GNN은 반복적인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인접 노드의 특징 정보를 집계하고 이를 현재 중앙 노드 표현과 통합한다. 이는 집계 및 업데이트 작업을 모두 포함하는 여러 레이어를 쌓아 수행된다. 그 결과 제공된 그래프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다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다.
집계 단계에서는 평균 풀링 또는 어텐션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인접 노드의 특징을 결합한다. 업데이트 단계에서는 GRU라는 연결 또는 합계 연산과 같은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여 집계된 피처를 중앙 노드 피처와 통합한다.
추천 시스템에 사용되는 그래프 신경망(GNN)기법은 5가지가 존재한다.
1. GNC(Graph Convolutional Network)
- GCN은 Graph Convolutional Network의 약자로, 그래프 구조의 데이터에 합성곱 연산을 적용하는 GNN의 한 종류이다. 합성곱 연산은 이미지나 텍스트와 같은 격자 구조의 데이터에 잘 작동하는데, 이를 그래프 구조의 데이터에도 확장할 수 있다.
- GCN은 각 노드가 자신과 인접한 노드들의 정보를 공유하고 학습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렇게 하면 노드 간의 상관관계를 잘 반영할 수 있다.
2. GraphSAGE(Graph SAmple and aggreGatE)
- GraphSAGE는 각 노드가 자신과 인접한 노드들의 특성을 샘플링하고 집계하는 함수를 학습하는 방식으로 작동
- GraphSAGE는 각 노드에 대해 고정된 수의 이웃을 선택한 다음 평균, 합계 또는 최대 풀링 기법을 사용하여 해당 이웃의 정보를 집계한다.
- 이 집계된 정보를 현재 노드의 특징과 연결하고 비선형 활성화 함수와 학습 가능한 변환 행렬을 통과시켜 해당 노드의 업데이트된 특징을 얻는다.
- GraphSAGE의 장점은 새로운 노드나 그래프에도 임베딩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GNN은 각 노드마다 고유한 임베딩을 학습하므로 새로운 데이터에 적용하기 어렵지만 GraphSAGE는 인접한 노드들의 특성을 활용하여 임베딩을 생성하므로, 이전에 보지 못한 데이터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3. GAT(Graph Attention Network)
- Graph Attention Network의 약자로, 그래프 구조의 데이터에 어텐션 메커니즘을 적용하는 GNN의 한 종류이다. 어텐션 메커니즘은 입력 데이터의 중요한 부분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데, 이를 그래프 구조의 데이터에도 확장가능하다.
- GAT은 각 노드가 자신과 인접한 노드들의 정보를 어텐션 가중치로 조합하여 학습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렇게 하면 노드 간의 상관관계와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습니다. GAT은 인접 행렬을 사용하지 않고 각 이웃 노드마다 다른 어텐션을 부여하여 자신의 임베딩을 업데이트한다.
- 일반적으로 LeakyReLU함수를 사용한다.
- GAT을 사용하는 이유는 사용자와 아이템 간의 관계를 그래프로 표현하고, 어떤 아이템에 더 집중할지 결정할 수 있기 때문
4. GGNN(Graph Gated Neural Network)
- 그래프 구조의 데이터에 GRU를 적용하는 신경망의 한 종류이다.
- GGNN은 그래프의 노드와 엣지에 있는 특성을 활용하여 노드 임베딩을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그래프 분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GGNN은 message passing이라는 방식으로 학습합니다. message passing이란 각 노드가 자신과 인접한 노드들과 정보를 주고받는 과정으로 GGNN은 message passing을 통해 각 노드의 임베딩을 업데이트하고, GRU를 사용하여 임베딩의 변화를 제어한다.
—# GRU
GRU는 Gated Recurrent Unit의 약자로, 순환 신경망(RNN)의 한 종류이다. GRU는 RNN이 장기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STM을 변형한 모델로, LSTM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LSTM과 비슷한 성능을 보여주면서도 매개변수가 적기 때문에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5. HGNN(Hypergraph Neural Network)
- 하이퍼그래프 구조를 사용하는 신경망의 한 종류
- 하이퍼그래프란 간단한 그래프와 달리 엣지가 두 개 이상의 노드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로, 고차원이고 복잡한 데이터 상관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 HGNN은 다중 모달 데이터나 이질적인 데이터와 같은 복잡한 실제 문제에 적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그래프 신경망보다 더 효과적인 표현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1.3 GNN을 사용하는 이유
최근 연구자들은 추천 시스템에 그래프 신경망을 사용하는 많은 연구를 제안하고 있다. GNN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GNN 기술은 데이터를 그래프 구조로 표현하고 분석하는 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많은 추천 시스템이 사용자-아이템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이분 그래프나 아이템 주문을 위한 시퀀스 그래프와 같은 그래프 구조를 사용한다. 사회적 관계나 지식 그래프와 같은 다른 데이터 유형도 자연스럽게 그래프 구조를 갖는다.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에 대해 효과적인 추천모델을 만드는 일은 쉽지 않다. 그러나 GNN을 사용하면 더 나은 추천 결과를 위한 패턴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NN은 사용자-아이템 표현을 학습하고 비순차적 추천 작업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GNN은 소셜 네트워크와 같은 추가 정보를 사용자-아이템 이분법 관계에 통합 그래프로 통합하여 보다 정확한 추천을 제공한다.
GNN은 사용자와 아이템 간의 상호 작요인 협업 신호를 보고 이러한 신호를 사용하여 사용자와 아이템을 더 잘표현한다.
이 단원에서는 추천 시스템이 그래프 구조를 사용하여 추천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아이템과 아이템 간의 상호작용 그래프를 구성하고 랜덤워크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항목의 순위를 매기는 ItemRank의 사용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GNN은 그래프가 아닌 모델보다 추천에 더 효과적이다.
1.4 GNN을 기반으로 한 추천시스템의 종류
GNN은 그래프 신경망을 사용하여 과거 상호 작용에서 사용자 선호도를 모델링하는 추천 시스템의 한 유형이다. 이번 파트에서는 그래프 임베딩 프레임워크에 따라 분류하고 각 유형과 관련된 장점과 한계를 분석한다.
그래프가 구조화되는 방식은 표현되는 정보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는 동종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고, 사용자-아이템 상호 작용은 이분 그래프 또는 두 개의 동종 그래프(사용자-사용자 및 아이템-아이템)로 표현할 수 있다. 효율적인 그래프 신경망 구조를 설계하는 것은 집계 및 업데이트 작업, 네트워크 깊이와 같이 사용되는 정보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소셜 추천은 소셜 네트워크 정보를 사용하고 지식 그래프 기반 추천은 지식 그래프 내 아이템 간의 의미 관계를 활용하는 등 추천 작업은 사용되는 정보의 유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2. USER-ITEM 협업 필터링
사용자-아이템 협업 필터링은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아이템을 사용하여 아이템의 표현을 개선하는 것이다. GNN 기법은 정보 확산을 모델링하고 사용자-아이템간의 상호 작용에서 고차 연결성을 포착하는 효율성을 개선하는 데 사용되었다. 다음 이미지는 사용자-아이템간의 상호작용 정보에 GNN을 적용하는 과정이다.
협업 신호를 캡처하는 데 GNN기법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네 가지 주요 이슈가 있다.
1. Graph Construction(그래프 구성)
- GNN을 사용하여 분석할 데이터를 위한 구조를 만드는 것
- 원본 그래프에는 사용자와 아이템 노드 및 이들의 상호 작용이 있다.
- GNN을 적용할 때는 원래의 이분 그래프를 사용할지, 2홀 이웃을 기반으로 동질 그래프를 만들지 결정해야 한다.
-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서는 전체 그래프 대신 대표적인 이웃을 샘플링 해야함
2. Neighbor Aggregation(이웃 집계)
- 네트워크에서 인접한 노드의 정보를 결합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 이웃 노드의 중요성을 고려할지, 중앙 노드와의 상호 작용을 모델링할지 등 이웃 노드를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하는 작업이 포함되어 있다.
3. Information Update(정보 업데이트)
- 중앙 노드의 표현을 이웃 노드의 표현과 결합하는 방법
4. Final Node Representation(최종 노드 표현)
- 사용자가 어떤 아이템을 좋아할지 예측하려면 사용자의 전반적인 선호도를 이해해야 함
- 사용자와 사용자가 상호 작용한 아이템에 대한 모든 정보를 결합
- 마지막 레이어의 노드 표현을 사용할지 아니면 모든 레이어의 노드 표현을 결합하여 최종 표현을 만들지 선택
2.1 Graph Construction(그래프 구성)
많은 연구에서 사용자와 아이템의 이분법 그래프에 GNN을 사용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원본 그래프에 직접 GNN을 사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그 이유는 원본 그래프가 사용자-아이템 표현을 학습하기에 충분히 포괄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효율성은 대규모 그래프에 대한 이웃 정보를 계산할 때 문제가 되며, 이는 높은 계산 비용을 초래한다.
사용자-아이템간의 상호작용 데이터에 대한 GNN의 효과와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원래의 이분법 그래프 구조를 강화하는 전략을 모색해 왔다. 그래프 신경망을 사용하여 사용자-아이템 협업 필터링을 개선하는 두가지 전략이 있다.
1) 그래프 구조를 풍부하게 하기 위해 엣지를 추가
(2) 가상 노드를 도입하여 사용자-아이템 상호작용을 보다 명확하게 포착
Multi-GCCF, DGCF, DHCF, HiGNN 등 여러 방법에서 이러한 전략을 채택하여 사용자-아이템 표현을 더 잘 학습하고 계산 비용을 절감했다.
대규모 그래프 기반 추천 작업을 위해 GNN을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샘플링 전략이 제안되었다. PinSage는 **무작위 도보 기반 샘플링(Random-walk-based sampling) 기법을 사용하여 중앙 노드에 직접 인접하지 않더라도 방문 횟수가 가장 높은 인접 노드를 선택하는 방법이다. **Multi-GCCF 및 NIA-GCN과 같은 방법은 무작위 샘플링 전략을 사용하여 고정된 수의 인접 노드를 선택한다. 이 전략은 원본 그래프 정보 유지와 계산 효율성 사이의 균형을 유지한다. 그래프 기반 추천 모델의 품질과 효율성은 이웃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샘플링 전략에 따라 달라지며, 보다 효율적인 샘플링 전략을 연구하고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2.2 Neighbor Aggregation(이웃 집계)
그래프 이론 분야에서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확신되는 방식은 인접 노드의 정보가 결합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집계 단계가 이를 결정하며, 평균 풀링은 인접 노드의 정보를 균등하게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더 중요한 그래프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방법에서는 그래프에서의 위치에 따라 노드에 가중치를 할당하는 “차수 정규화” 를 사용한다.
—# 평균 풀링
평균 풀링은 인접 노드의 평균을 취하여 노드에 대한 표현을 형성하는 것이다.
PinSage(그래프 기반 추천 시스템)는 랜덤 워크라는 샘플림 전략을 사용하여 이웃의 벡터 표현을 집계한다. 이 방법은 정규화된 방문 횟수를 기반으로 이웃에게 중요성을 할당하지만 연결된 노드 간의 관계는 고려하지 않는다.
상식적으로 사용자의 관심사와 일치하는 아이템이 더 자주 추천되어야 한다. MCCF와 DisenHAN은 관심도 메커니즘을 사용해 사용자의 관심사를 기반으로 어떤 아이템이 더 중요한지 학습한다. NGCF는 사용자가 관심 있는 항목의 기능이나 사용자가 추천 항목에서 원하는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요소별 상품을 사용한다. NIA-GCN은 그래프 기반 추천 작업에서 이웃 내 관계 정보를 보존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사용자-사용자 또는 아이템-아이템 관계와 같은 이웃 간의 상호 작용을 명시적으로 포착하기 위해 모든 두 이웃간의 요소별 곱셈을 사용하는 쌍별 이웃 집계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2.3 Information Update(정보 업데이트)
노드의 이웃 노드로부터 정보를 수집한 후에는 추가 정보 전파를 위해 노드의 표현을 업데이트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드의 표현을 업데이트하는 기존 방법은 노드의 원래 정보를 유지하는지 아니면 이웃 노드의 집계된 표현을 위해 완전히 폐기하는지에 따라 2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 사용자-아이템 노드의 원본 정보를 완전히 버리고 이웃 노드의 집계된 표현을 새로운 중앙 노드 표현으로 사용
-
노드자체와 그 이웃 메시지를 모두 고려(두가지 표현을 결합)
두 가지 표현을 결합하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두 표현을 더하거나 평균을 내는 것이다. 또 다른 접근 방식은 두 표현을 연결하고 비선형 변환을 적용하여 더 복잡한 특징 상호 작용을 허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부 연구에 따르면 비선형 변환이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일부 모델은 비선형성을 제거하여 프로세스를 단순화한다.
2.4 Final Node Representation(최종 노드 표현)
GNN에서는 레이어별 프로세스를 통해 각 깊이에 대한 노드 표현을 생성한다. 예측을 하려면 사용자와 아이템의 전체적인 표현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마지막 레이어의 노드 벡터를 최종 표현으로 하지만 서로 다른 레이어에서 얻은 표현은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서로 다른 메시지를 강조한다. 하위 레이어 표현을 개별 특징을 반영하고 상위 레이어 표현은 이웃 특징을 반영한다. 최근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계층의 메시지를 통합하여 출력으로 표현된 모든 연결으 이점을 활용한다.
2.5 요약
1. Graph Construction(그래프 구성)
그래프 구성이란 사용자와 아이템 간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그래프 구조를 만드는 과정을 말하며 사용자-아이템 이분 그래프는 이러한 관계를 표현하는 간단한 방법입니다. 그러나 일부 노드의 연결 수가 적은 경우 에지 또는 노드를 추가하면 그래프 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 노드 주변을 샘플링하는 것도 계산 효율성을 위해 수행할 수 있지만 효과와 효율성 간의 절충이 필요로한다. 효과적인 샘플링 전략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2. Neighbor Aggregation(이웃 집계)
이웃 집계는 그래프 또는 네트워크에서 인접한 노드의 정보를 결합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인접 노드가 서로 다른 경우, 세심한 가중치를 사용하여 정보를 결합하는 것이 동일한 가중치를 사용하거나 차수별로 정규화하는 것보다 낫지만 인접 노드가 비슷한 경우에는 동일한 가중치를 사용하거나 차수별로 정규화하는 것이 더 쉬울 수 있다.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해 이웃 노드가 서로 영향을 미치는 방식이나 중앙 노드가 이웃 노드에 연결되는 방식을 명시적으로 모델링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지만, 더 많은 데이터 세트에서 테스트해야 한다.
3. Information Update(정보 업데이트)
원래 노드를 제거하는 대신 원래 형태와 주변 노드의 정보를 사용하여 노드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더 좋다. 최근의 일부 연구에 따르면 일반적인 그래프 신경망 모델의 단순화된 버전이 실제로 원래 모델보다 더 나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4. Final Node Representation(최종 노드 표현)
마지막 레이어의 표현만 사용하는 대신 모든 레이어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가중 풀링과 연결이라는 두 가지 일반적인 기술이 있다.
3. 순차적 추천
순차적 추천은 사용자의 이전 행동을 기반으로 다음에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것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여기에는 사용자가 상호 작용한 아이템의 순서에서 패턴을 캡처하고 해당 순서를 기반으로 추천을 생성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아이템의 시퀀스를 일종의 그래프로 취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념으로 인해 사용자의 순차적 행동에서 전환 패턴을 포착하는 데 그래프 신경망(GNN)이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GNN은 시퀀스를 그래프로 모델링하고 아이템 전환의 패턴을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순차 추천에서 GNN을 사용할 때 그래프 구성, 정보 전파, 순차 선호도라는 세 개의 주요 이슈를 해결해야 한다. 다음 그림은 순차 추천에서 GNN의 전체 프레임워크이다.
1. Graph Construction(그래프 구성)
- 데이터를 시퀀스 그래프로 변환해야 함
- 각 시퀀스에 대한 하위 그래프를 독립적으로 구성
- 연속된 두 아이템 사이가 아닌 연속된 여러 아이템 사이에 엣지를 추가
- 위 2개의 항목 중 더 나은것을 선택해야 함
2. Information Propagation(정보 전파)
- 전환 패턴을 포착하기 위해 최적의 정보 전파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
- 연결된 아이템에 대해 순차 순서를 구분해야 하는지 여부는 불분명
3. Sequential Preference(순차 추천)
- 사용자의 가장 최근 활동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다음 선호도를 예측
- 사용자의 순차적 행동에서 전환 패턴을 포착하기 위해 사용자의 시간적 선호도를 아이템 표현을 시퀀스로 통합
- 연속적인 시간 패턴을 향상시키는 두 가지 방법은 주의 풀링 또는 RNN 구조를 활용
3.1 Graph Construction(그래프 구성)
사용자-아이템 상호작용은 이분 그래프 구조를 가지는 반면 순차적 동작은 시간 순서대로 시퀀스로 표현된다. 순차 추천에 GNN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순차적 행동을 기반으로 한 순서 그래프를 구성해야 한다.
다음 그림은 순차적 행동으로부터 그래프를 생성하는 다양한 방법을 보여준다. 이 과정은 순차적 추천에 GNN을 적용하는 데 필요하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각 시퀀스의 각 항목을 노드로 처리하고 연속적으로 클릭한 두 아이템 사이에 엣지를 추가하여 각 시퀀스에 대한 방향 그래프를 구성하는 것이다. 하지만 사용자 시퀀스의 길이가 짧은 경우가 많이 때문에 이 접근 방식은 대부분의 시나리오에서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동일한 사용자 또는 전체 데이터 세트의 추가 행동 시퀀스를 사용하여 원래 시퀀스 그래프 구조를 보강하는 전략을 제안했고 이러한 전략은 단일 시퀀스 내에 더 많은 노드와 연결을 추가하는 전략과 여러 시퀀스를 함께 결합하는 전략으로 나눌 수 있다.
- 사용자 행동 데이터의 추가 시퀀스를 사용하여 아이템과 아이템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
- 과거 사용자 시퀀스나 다른 유형의 행동 시퀀스와 같은 다양한 소스에서 가져올 수 있음(HetGNN)
—# HetGNN : 모든 행동 시퀀스를 분석하고 동일한 시퀀스에 있는 아이템 사이에 행동 유형을 엣지 유형으로 엣지를 생성
- 전체 시퀀스의 전반적인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연속된 아이템 사이에 엣지를 추가하거나 가상 ‘스타’ 노드를 도입하는 등 현재 시퀀스의 그래프 구조를 조정
3.2 Information Propagation(정보 전파)
GNN프레임워크는 일반적으로 이전 아이템과 다음 아이템의 정보를 평균화하여 결합하고 GRU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인접 노드와 중앙 노드의 정보를 통합하여 방향 그래프에 정보를 전당하는 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시퀀스 크래프에서 아이템 간의 전환 패턴을 효율적으로 전파하고 캡쳐할 수 있다. 일부 방법은 어텐션 메거니즘을 사용하여 특정 이웃에 더 많은 중요성을 부여한다.
3.3 Sequential Preference(순차 추천)
GNN은 아이템 간의 장거리 종속성을 포착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퀀스 선호도를 반영하기 위해 시퀀스의 마지막 아이템의 표현을 제한한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효과적인 시퀀스 표현을 얻기 위해 시퀀스 내 아이템 표현을 통합하는 전략을 제안했다.
시퀀스에서는 아이템마다 중요도나 우선순위가 다르기 때문에 아이템 표현을 효과적으로 통합하기 위해 어텐션 메커니즘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NISER와 GCE-GNN과 같은 일부 접근 방식은 위치 임베딩을 추가하여 위치를 인식하는 아이템 표현을 얻고, FGNN은 반복적인 사용자 선호도 업데이트를 위해 GRU와 어텐션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한편, DHCN과 COTREC은 세션 간 그래프를 통합하여 두 단계에서 학습한 순차적 표현을 결합함으로써 시퀀스 그래프를 강화한다.
3.4 요약
1. Graph Construction(그래프 구성)
그래프를 구성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어떤 방법이 더 나은지에 대한 합의는 아직 없으며 세션 간 그래프를 통합하면 추천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단순히 연속된 항목 사이에 엣지를 추가
- 행동 시퀀스의 그래프 구조를 조정
2. Information Propagation(정보 전파)
그래프 네트워크 전체에 정보를 전파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방법마다 계산 비용과 성능 향상 측면에서 서로 다른 장단점이 존재하며 이 또한 합의된 최적의 방법은 아직 없다. 일부 더 복잡한 방법은 계산이 증가하는 대신 더 나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최종적으로는 어떤 방법을 사용할지 결정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요구 사항과 제약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3. Sequential Preference(순차 추천)
특정 순서에 따라 항목을 추천할 때는 일반적으로는 어텐션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해당 아이템의 표현을 결합한다. 연구자들은 성능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위치 임베딤을 추가하여 아이템의 순서를 파악하는 실험을 진행하였고 RNN 구조를 사용하면 모든 순차적 추천 작업에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는 아직 모른다.
해당 그림은 세 가지 주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토된 모델에서 사용된 주요 전략에 대한 개요이다.
4. 소셜 추천
소셜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에서 얻은 정보를 사용하여 추천을 개선한다. 이는 소셜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람들은 비슷한 선호도를 가질 것이라는 생각에 기반한 것이다. ex)같은 전공은 가진 그룹들은 같은 관심사를 가질 확률이 높음
소셜 추천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간의 소셜관계를 정규화 도구로 사용하여 사용자 표현을 제한하는 방법도 있고, 이러한 관계를 입력을 통합하여 원래 사용자 임베딩을 개선하는 방법도 있다. 그래프 학습 관점에서 보면, 이전 연구들은 각 사용자의 1차 이웃을 모델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사용자는 친구의 친구에게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전 연구들에서 고차 영향 확산을 무시하면 최적이 아닌 추천 성능으로 이어질 수 있다. GNN은 사용자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시물레이션할 수 있기 때문에 추천 시스템에서 소셜 정보를 모델링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GNN은 재귀적인 소셜 확산 과정을 포착할 수 있어 사용자 행동과 선호도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GNN을 사용하여 소셜 정보를 모델링할 때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1. Influence of Friends (친구의 영향력)
- 모든 친구가 동일한 수준의 영햑력을 가지고 있는가
- 일부 친구가 다른 친구보다 더 많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가
- 정확한 추천을 하려면 다양한 수준의 영향력을 가진 친구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
2. Preference Integration(선호도 통합)
- 친구와의 사회적 관계와 아이템과의 상호작용을 통합해야 함
4.1 Influence of Friends (친구의 영향력)
소셜 네트워크에서는 사용자 간의 연결이 얼마나 강한지 불분명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연결을 사용하여 추천을 할 때는 각 친구가 얼마나 영향력이 있는지 파악해야 추천이 더 정확해질 수 있다. 기존 모델에서는 모든 친구의 영향력이 동일하다고 가정했지만, 사용자는 사회적 유대 관계가 강하거나 선호도가 비슷한 친구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이는 정확하지 않다. DiffNet은 평균 풀링 연산을 사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했지만, 이러한 동등한 영향력 가정은 실제로는 신뢰할 수 없다. 현재는 이를 고려하기 위해 어텐션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이웃의 영향력을 차별화하여 전반적인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 일반적인 접근 방식이다. Song 연구원 등은 사용자의 행동을 모델링하기 위해 순환 신경망을 사용하고, 현재 관심사를 기반으로 소셜 연결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그래프 어텐션 신경망을 사용하는 DGRec이라는 방법을 제안했다. 어텐션 메커니즘은 추천 시스템에서 친구의 영향력을 결정할 때 평균 풀링 연산에 비해 더 나은 접근 방식이며 친구마다 영향력 수준이 다르다는 가정을 확인하여 서로 다른 친구의 영향력을 구분할 수 있다. 신뢰할 수 없는 소셜 관계를 포함하면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추천에 통합할 소셜 관계를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은 중요하다. ESRP는 자동 인코딩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관련 없는 관계를 필터링하고 새로운 이웃을 탐색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한다. DiffNetLG는 암묵적 로컬 영향력을 사용하여 관찰되지 않은 사회적 관계를 예측한다.
4.2 Preference Integration(선호도 통합)
소셜 추천에는 사용자-아이템 상호작용과 소셜 그래프라는 2가지 유형의 관계가 포함된다. 소셜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이 2가지 네트워크를 결합하는 2가지 전략이 있다.
- 밑에 그림 (a)와 같이 각 네트워크에서 별도의 사용자 특징을 학습한 다음 이를 최정 선호도 벡터에 통합하는 방법
- 밑에 그림(b)와 같이 사용자-아이템 상호작용과 소셜 네트워크를 단일 네트워크로 결합하고 GNN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전체에 정보를 확산시키는 방법
1번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처리할 경우 사용자-아이템 이분 그래프에 대한 고급 방법을 직접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영향력 프로세스를 시뮬레이션 하는 데 GNN기법이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두 관계에서 학습한 사용자 표현의 통합은 두 네크워크 사용자 표현을 합치는 선형성 또는 다층 퍼셉트론을 사용하여 두 표현 간의 기능 상호 작용을 강화하는 비선형성 조합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으며 널리 채택되고 있다.
DiffNet은 두 공간의 사용자 표현을 동등하게 취급하고 합 풀링 연산을 통해 결합하는 반면, DANSER은 동일한 가중치 조합을 제공하는 대신 사용자-아이템 쌍을 이루는 특징에 따라 가중치를 동적으로 할당한다.
2번 방식은 두 네크워크를 하나로 통합하고 GNN기법을 적용하여 영향력 프로세스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이다. 1번 방식의 장점은 두 네트워크의 확산 깊이를 차별화할 수 있다는 점이며, 2번째 전략의 장점은 고차적인 사회적 영향력과 관심사 확산을 모두 통합적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는 점이다. 선형성 및 비선형성 조합을 포함하여 두 관계에서 학습한 사용자 특징을 통합하는 데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DiffNet++는 2단계 관심 네트워크를 통해 그래프에서 사용자 노드를 업데이트하는 모델이다. 그래프에서 서로 다른 두 가지 유형의 이웃, 즉 상호작용한 아이템과 소셜 네트워크의 친구로부터 얻은 정보를 결합한다. 이는 각 유형의 이웃에 대해 개별적으로 GAT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SEFrame은 그래프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사회적 관계, 사용자-아이템 상호작용, 아이템 전환에서 얻은 정보를 결합하는 방식이다. 2단계 어텐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정보를 전파한다. 어떤 전략이 가장 효과적인지는 아직 근거가 없기 때문에 불확실하다.
4.3 요약
소셜 추천에는 두 가지 이슈가 존재한다.
-
Influence of Friends (친구의 영향력)
모든 친구를 동등하게 대하기보다는 서로 다른 친구의 영향력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한 가지 접근 방식은 소셜네트워크의 노이즈를 기반으로 소셜 관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것이다.
-
Preference Integration(선호도 통합)
선호도 통합은 추천 시스템에서 사용자 선호도를 형성하기 위해 2가지 정보 소스, 즉 사용자-아이템 상호작용과 소셜 관계를 결합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그래프를 결합하는 방법은 두 그래프를 개별적으로 고려할지 하나의 그래프로 통합할지에 따라 달라진다. 별도의 그래프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선호도는 이 두 그래프에서 학습된 전체 특징을 통합한 것인 반면 통합 그래프의 경우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전략은 집계 스키마이다.
5. 지식 기반
소셜 네트워크는 사용자 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사용되며, 지식 그래프는 속성을 통해 아이템 특징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아이템 간의 연관성을 탐색하고 사용자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추천 아이템의 해석 가능성을 개선하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지식 그래프는 여러 엔티티 유형과 관계로 구성된 복잡한 구조로 인해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지식 그래프 임베딩(KGE)를 사용하여 지식 그래프를 전처리하여 개체와 관계의 임베딩을 학습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전환 제약 조건으로 의미적 연관성을 모델링하는 데 중점을 두기 때문에 링크 예측과 같은 그래프 관련 작업에 더 적합하다. 메타 경로 기반 방법은 예측 모델에 입력되는 메타 경로를 수동으로 정의하며 도메인 지식이 필요하고 복잡한 지식 그래프에 대해 시간이 많이 든다.
지식 그래프 기반 추천의 개념에는 사용자-아이템 상호작용 데이터와 지식 그래프를 모두 사용하여 아이템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 접근 방식은 사용자-아이템 상호작용 신호를 지식 그래프와 통합하는 방법과 지식 그래프에서 엔티티 간의 다양한 유형의 관계를 고려한 집계 함수를 설계하는 방법이라는 2가지 주요 과제를 해결 해야한다.
—# 엔티티
지식 기반 추천시스템에서 엔티티란 텍스트에서 의미있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이름이 있는 사람, 장소, 조직 등과 같은 명사적인 개체를 의미하며 이러한 엔티티들은 자연어 처리 기술을 이용해 추출된다.
1. Graph Construction(그래프 구성)
- 그래프에 사용자 노드를 포함
- 사용자 노드를 사용하여 관계의 중요도를 구분
2. Relation-aware aggregation(관계 인식 집계)
- 지식 그래프에는 엔티티 간에 다양한 유형의 관계가 존재
- 관계 인식 집계는 이러한 연결된 엔티티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결합
5.1 Graph Construction(그래프 구성)
그래프를 만들 때 중요한 고려 사항 중 하나는 사용자 상호 작용의 신호를 그래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식과 결합하는 방법이다. 이를 그래프 구축에서 협업 신호와 지식 정보를 통합하는 작업이라고 한다.
지식 그래프 기반 추천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 노드를 엔티티 유형으로 통합하고 사용자아와 아이템 간의 관계를 “상호작용”으로 표현하여 사용자-아이템 상호작용을 지식 그래프와 결합하는 것이 한 가지 접근 방식이다. 이는 KGAT, MKGAT, CKAN과 같은 모델에서 수행된다. 연구자들은 지식 그래프에서 사용자-아이템쌍과 사용자가 과거에 상호작용한 아이템 및 관련 의미를 연결하는 하위 그래프를 구축하는 데 주력했다. 이는 지식 그래프의 풍부한 정보를 활용하여 아이템 간의 연관성을 명시적으로 파악하고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추정함으로써 지식 그래프 기반 추천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AKGE는 TransR을 사용하여 엔티티의 임베딩을 사전 학습하고, 연결된 엔티티 간의 쌍별 유클리드 거리를 계산한 후, 경로가 짧을 수록 더 안정적인 연결을 반영한다는 가정하에 대상 사용자와 아이템 노드 간의 거리가 가장 짧은 K개의 경로를 선택하여 지식 그래프에서 하위 그래프를 구성한다.
ATBRG라는 방법은 여러 계층의 엔티티 이웃을 철저히 검색하여 겹치는 엔티티를 사용하여 사용자 행동과 대상 아이템을 연결하는 경로를 복원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한다. 이 접근 방식은 사용자-아이템 쌍과 더 관련성이 높은 하위 그래프를 얻는 데 도움이 된다. ATBRG 방법은 중요한 정보에 집중하기 위해 링크가 하나만 있는 엔티티를 잘라내어 그래프의 크기를 조절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 접근 방식은 효과적이지만 엔티티 임베딩을 사전 학습하거나 경로를 철저하게 검색하고 정리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어서 효율적인 하위 그래프 구성 전략을 찾으려면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
일부 연구자들은 지식 그래프에서 관계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고려하기 위해 다른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KGCN과 KGNN-LS는 사용자 노드를 사용하여 엔티티 간의 다양한 관계에 가충치를 할당한다.
5.2 Relation-aware aggregation(관계 인식 집계)
그래프 신경망은 연결된 개체와 개체 간의 관계를 모두 고려하여 지식 그래프에서 정보를 더 잘 포착할 수 있다. 추천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역할도 중요하다. 그래프 주의 네트워크(GAT)를 사용하면 연결된 노드를 기반으로 적응형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작업은 점수 함수를 사용하여 연결된 엔티티의 가중 평균을 기반으로 중앙 노드를 업데이트한다. 일부 연구에서는 사용자 노드를 지식 그래프에서 또 다른 유형의 엔티티로 취급하며, 사용자 선호도가 업데이트 과정에서 다른 엔티티에 전달된다. 이러한 작업은 관계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사를 명시적으로 모델링하지 않고, 연결된 노드와 관계에 따라 엔티티의 영향력을 차별화하며 KGAT모델은 관계 공간에서 연결된 엔티티 간의 거리를 기반으로 가중치를 할당한다.
5.3 요약
지식 그래프 기반 추천에는 두 가 지이슈가 존재한다. 1. Graph Construction(그래프 구성)
- 사용자 노드를 엔티티 유형으로 간주
- 사용자 노드를 관계를 구분하기 위해 암시적으로 사용
2. Relation-aware aggregation(관계 인식 집계)
- 연결된 엔티티의 정보를 집계하기 위해 GAT의 변형을 사용
- 사용자 노드가 없는 그래프의 경우 사용자 표현을 사용하여 관계에 가중치 할당
- 관련성이 높은 엔티티와 관계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계산 시간이 더 많이 걸리고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
6. 결론
GNN을 추천시스템에 사용하는 것은 인기를 끌고 있다. 그 이유는 그래프 데이터에 대한 학습에서 GNN이 우수한 결과를 보여줬기 때문이다. 최근의 GNN 기반 추천 시스템 관련 연구들을 정리하기 위한 분류 체계를 제안하고, 각 분류별 대표 모델들이 채택하고 있는 주요 이슈와 전략, 그리고 장점과 한계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GNN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